본문 바로가기

성장/자산, 경제

한국 경제 퍼펙트 스톰? 부의 시그널은 이것이다 (경제세미나) 리뷰

반응형

인플레이션, 금리, 패권전쟁, 한국은 어디로?

1. 현재 인플레이션 배경

Fed Powell : 올해 인플레이션 피크 아웃될 것.-> 반드시 되어야 함. 가능할 것으로 예측됨.

하지만 피크아웃된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가 관건임. 2%가 아니라 3%-6% 수준으로 멈춘다면?지난 40년간 인플레이션이 오지 않은 이유 : '세계화' 특혜'세계화, 글로벌화' = 1991년 소련 붕괴, 일본 버블 사태-> 미국이 국제질서 장악(미국에 의한 평화의 패러다임으로 전환)즉,  자본과 노동력의 국경이 없어지면서 가장 싼 자본으로 묶어서 공급이 가능했음= 물가 걱정이 없음.지금은? 

https://www.youtube.com/watch?v=H6FmzLVzCr8

2. 현재 인플레이션 원인은? (단기영향)

1. Powell의 not in my term 

   역시 사람이 하는 일, 연임 동기로 인한 2021년 '인플레이션=일시적' 주장, 

  Powell은 2008년 Ben Bernanke의 양적완화, 제로금리에도 인플레이션 안 오게 만든 노력을 간과함.

2. Moneytary Inflation

    2019년 미국 재정 4.4조/년인데,  코로나 기간 동안 6조를 재정 지출함. 인플레이션 자극.

    지금의 인플레이션이 단지 이러한 단기적인 요인으로 시작된 것이 아님.

 

3. 현재 인플레이션 원인은? (장기영향)

1. 친환경의 역설

미국 셰일가스 규제로 개발 자체도 위험을 안고 있는데 개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빠른 에너지 전환 선언(2030년까지 전기차 50%/전체)으로 개발 당위성 줄어듬.

2. 이상기후

유럽 풍력발전 전체 에너지의 15% 차지. 이상기후로 북해에서 바람이 한 달 내내 없어서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아지고 석탄 품귀 현상* 발생

결국 , 에너지 가격이 상승함.

* 코로나 시국 때, 하늘을 보면서 중국 공장이 멈춰서 우리나라 공기가 깨끗했구나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상기후 때문에 석탄 품귀현상이 발생되어 에너지 가격이 상승해서 중국 공장이 가동되지 못한 것이었음.

3. 탈세계화

1990년대 이후로 미국 노동 생산성이 계속 낮아져서 세계화로 돌파구를 마련함->하지만, 세계화 혜택의 수혜자는 중국!

현재 미국 내 세계화 반대 목소리가 커지고 있음(미국 중산층은 전혀 임금이 나아지지 않고 더 가난해짐: 반 세계화 선봉)

4. 부채

금리가 떨어지면 돈을 빌린다. (미국 국체가 0.5% 저금리까지 갔음) --> 지금? 3% 정도까지 6배 상승.

이미 아르헨티나, 터키는 지난해보다 물가가 60-80% 증가함. 

물가가 오르는 나라는 악순환의 고리 : 물가 오름-> 해외자본유출-> 자국 화폐가치 하락-> 수입물가상승-> 물가 오름 악순환

5. 패권전쟁

패권전쟁=자원전쟁

현재 우리나라 우크라이나 우호국,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네온, 크립톤 등을 러시아로부터 구할 수 없음.

중국이 독점 공급 형세가 되니 중국이 네온 가격을 50배 올림물론 전쟁은 정당화될 수 없다. 하지만 경제보복에 대한 연구, 대비 없이 주장만 하면 우리나라 산업이 무너지므로 굉장히 세심하게 접근해야 함.

6. 금리 상승

대비해야 한다. 방법 없음.

 

올해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이 기대되지만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원인들에 의해 기대한 것만큼의 수준으로 내려갈 것 같지 않다. 
반응형